본문 바로가기

텃밭 작물

무 기르기

반응형

"

 무 기르기 

"

 

무는 배추와 함께 주된 김장 재료로 친숙한 채소다.

재배시기를 배추와 같이 잡으면 수월하다.

즉, 가을에 파종해 김장철에 수확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래서 텃밭에서 무를 재배한다고 하면 보통 가을 재배를 의미한다.

서늘한 기후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이 잘 맞다는 점을 감안해서 기른다.

무는 감자, 상추, 열무, 아욱 등의 봄 채소를 거둔 장소에 기르면 된다. 

무를 심을 장소로 선정된 밭은 7월 말에 석회를 1㎡당 100~200g(1컵) 넣고 표면의 석회가 덮이는 정도로 살짝 일군다.
파종하기 1~2주 전에 1㎡당 4㎏ 정도의 완숙퇴비와 깻묵 4컵(800g) 정도를 넣고 밭을 일구어 이랑 너비가 1~1.2m, 높이가 15~20㎝ 정도 되게 준비한다.

씨앗 준비
가까운 종묘상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가꾸고자 하는 종류의 종자를 준비한다. 

무는 목적에 따라 종자를 준비하는 기준이 달라진다. 

뿌리를 쓸지 무청을 쓸지에 따라 종자를 선택한다.
뿌리 위주의 종자와 무청 위주의 종자가 있는 반면 절충식 종자도 있다. 

보통 김장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는 뿌리 위주의 종자를, 김장도 하고 시래기로도 이용하려면 절충식 종자를 선택한다.
무 씨앗은 배추 씨앗에 비해 싸고 포장 단위도 크다. 보통 100㎖(1㎗), 50㎖ 단위로 포장되어 있어 텃밭이 작은 경우 반 이상이 남게 된다. 

남은 씨앗은 그대로 봉지의 윗부분을 여러 번 접어 스테이플러로 두 번 정도 찍어 냉장고에 보관해두면 이듬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배추와의 가장 큰 차이는 모종으로 심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아예 시중에 모종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무와 성질이 비슷한 당근을 시험용으로 옮겨심기 해봤는데 옮겨 심은 당근에는 잔뿌리의 발달이 두드러지고, 큰 뿌리도 2~3개로 갈라지는 것이 많이 보였다. 

그래서 옮겨 심을 경우 잔뿌리가 많아져 이용하기 불편하고 상품성도 떨어지니 이 방법을 쓰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무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옮겨심기 모종이 시중에 나오지 않는 것 같다.

파종
준비된 밭에 30~40㎝의 줄 간격으로 줄뿌림한다. 

호미로 파종 골을 만들고 골의 중간에 무 씨앗을 2~3㎝ 간격에 한 알씩 넣는다. 

5㎜ 정도로 가볍게 흙을 덮어준 다음 물을 흠뻑 뿌려준다.

파종 후 한랭사를 씌우면 8월 중순의 무더위를 약간이라도 완화시켜줄 수 있어 재배가 훨씬 쉬워진다.

활대를 50㎝ 간격으로 설치하고 위에 한랭사를 씌운 다음 가장자리를 흙으로 빈틈없이 덮어준다.

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우리나라의 8월 날씨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그래서 인공적으로 해를 가리는 흰색의 한랭사를 쳐준다. 

한랭사의 또 하나의 역할이라면 8월 중순에 세차게 내리는 소낙비에서 무의 떡잎을 보호해준다. 

여름에 소나기가 내리면 굵은 빗방울 탓에 흙바닥에 짓물러 죽는 떡잎이 많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한랭사를 씌우면 많이 완화할 수 있다.
한랭사는 포장 단위가 100m로 되어 있어서 작은 텃밭용으로는 구입하기가 쉽지 않다. 

가격도 만만치 않아 텃밭 또는 주말농장을 하는 이웃과 공동으로 구입해 사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면 좋다. 

자라는 모습
파종 후 4~5일이 지나면 떡잎이 나오고, 또 며칠 더 있으면 본잎이 떡잎 사이에서 자라기 시작한다. 

기르기로 따지면 무는 배추와 비슷한 난이도인데, 재배시기만 잘 선정하면 누구나 어느 정도의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작물이다. 그러나 의외로 장소 선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계속해서 무를 연속 재배하면 어려움을 많이 겪을 수 있다. 

남들이 쉽게 재배하는 채소라고 해서 나에게도 언제나 쉬운 것은 아니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파종 후 30일 정도 지나면 솎아서 열무처럼 이용할 수 있다. 

기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솎아주어 무의 간격이 15~20㎝ 정도 되도록 한다. 

싹이 터서 자라는 초기에는 서로 경쟁적으로 크는 것이 좋으므로 조기에 솎음 간격을 너무 넓히지 않는 것이 좋다.

무도 배추와 마찬가지로 두더지에 의한 피해가 상상외로 크다.

 파종 얼마 후에 보면 두더지가 여기저기 터널공사를 하는 것이 보인다. 

어떤 때는 밭에 가만히 있으면 옆의 흙이 움직이는 것이 보일 때도 있다. 

두더지가 지나간 자리의 무는 뿌리가 들떠 이내 말라 죽고 만다.
안타까운 마음에 발로 밟고 물을 주어도 상처 받은 무는 쉽게 회복하지 못한다. 

크게 자랄 때까지 문제를 일으킨다. 

밭 흙이 조금 찰져서 비가 오고난 후 잘 굳는 곳에 파종을 하면 두더지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연작장해
무를 같은 밭에 계속 기르면 벌레가 만연해 못쓰게 된다. 
무를 한 번 심으면 연속으로 그 자리를 쓰지 말고 2~3년 후에 다시 그 자리에 재배하기를 권한다.

밭이 모자라거나 형편이 안 되면 이웃의 다른 작물과 바꿔 짓는 한이 있더라도 연속 재배만은 피해야 한다.

물론 잘 듣는 농약을 몇 번 사용한다면 이러한 문제는 해결이 되겠지만, 무농약 재배를 원칙으로 삼는다면 반드시 밭을 돌려가면서 재배해야 한다.

거리상으로도 원래 밭과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벌레(좁은가슴잎벌레, 벼룩잎벌레)는 이동성이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작년에 파종한 무, 배추, 갓 등의 배추과 채소를 재배한 지역에서 5m 정도만 떨어지면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나마 2년 정도의 연작은 벌레를 조금씩 잡아가면서 키우는 게 가능하지만 3~4년 연작은 손대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김매기 및 웃거름주기
무밭의 풀은 파종 후 무가 싹이 틀 때 동시에 싹이 트고 자란다. 

따라서 무가 어릴 때 주변의 풀을 한 번 정도 정리해주어야 한다. 

이 정리가 늦어져 풀이 활개를 치게 되면 무가 약해진다. 

생존경쟁에서 밀리는 것이다.

파종 3주 정도 되었을 때 꼼꼼하게 풀을 정리해주면 무가 먼저 성장해 그늘을 만들면서 풀이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초기의 풀은 뿌리가 엄청나게 발달해 뽑기가 쉽지 않다. 주변의 흙덩이를 많이 들고 일어나기 때문에 풀을 뽑을 때는 언제나 풀 주변을 손바닥으로 누르면서 제거하는 것이 요령이다. 초기에는 비름, 명아주, 바랭이 등이 보이다 수확기가 되면 별꽃 종류가 많이 보인다.

웃거름을 주기 위해서는 우선 무 파종 골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잡는다. 

30㎝ 이상이면 좋다. 

그래야 파종 6~7주 정도 지나면 골 사이를 호미로 파고 웃거름을 줄 수 있다. 

웃거름은 솎음수확을 한 후 주는 것이 가장 좋다. 

만들어둔 퇴비를 웃거름으로 주고 그 이후는 여유가 되면 깻묵액비를 20배 정도 희석해 뿌려주면 성장이 촉진된다.

수확
파종 3주 이후부터 솎음수확이 가능하다. 

솎아서 겉절이를 담거나 데쳐서 나물 또는 시래기로 이용하면 좋다. 

파종 2개월 정도 지나면 뿌리를 뽑아 이용해도 된다.

무가 어느 정도 자라면 잎이 무성해진다. 

이때 아랫잎을 따서 삶아 시래기로 이용하면 좋다. 

잎줄기를 딸 때 한꺼번에 너무 많이 따내면 무 뿌리가 부실해지므로 한 포기에서 2~3개의 잎줄기만 따내도록 한다.

11월 중순에서 말경 김장을 할 때 모두 수확하는 것을 말한다. 

김장용으로 수확을 할 때는 뿌리째 뽑아내서 뿌리와 줄기가 구분되는 곳을 칼로 잘라낸다. 

뿌리는 김장용으로 사용하고 위에 붙은 줄기는 시래기로 쓴다. 

김장용으로 쓰고 남는 무는 물이 고이지 않는 장소를 골라 묻어둔다. 

그러면 3월까지 조금씩 캐서 이용할 수 있다. 저

장용으로 묻어두는 무는 뿌리와 줄기를 칼로 잘라낼 때 뿌리 부분의 무가 잘려나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무의 윗부분이 상처를 받으면 보관 중에 짓무르는 수가 있다.

묻는 방법
장소 선정이 중요하다. 물이 고이지 않는 장소를 고른다. 

습기가 조금 차는 곳은 비닐이나, 양은으로 된 용기를 땅에 묻고 용기 안에 무를 넣은 다음 위에 짚을 두텁게 덮고 흙으로 덮어두면 된다. 

깊이는 용기가 묻히는 정도 또는 50㎝ 정도 파낸다. 

파낸 곳에 짚을 조금 깔고 무를 올리고 다시 짚을 두텁게 10㎝ 정도 깔고 위에 흙을 20㎝ 이상 덮는다. 

눈, 비가 걱정되면 흙 위에 비닐을 덮어둔다.

무시래기 만드는 방법
무를 수확한 후 줄기를 모아서 시래기를 만든다. 

곧바로 먹을 것은 생으로 있는 줄기를 삶아 한 번에 먹을 만큼만 비닐봉지에 넣어 냉동실에 넣어두면 된다. 

나머지는 끈으로 엮어 그늘에 달아두고 필요할 때마다 삶아 먹는다.

 

 

 

 

 

반응형

'텃밭 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각무 기르기  (0) 2021.06.17
쪽파 기르기  (0) 2021.06.16
완두콩 기르기  (0) 2021.06.11
땅콩 기르기  (0) 2021.06.09
마늘 기르기  (0) 2021.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