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및 진단, 치료법

반응형

최근 업무를 하면서 손목터널증후군에 많은 관심이 가요.

자다가도 손이 자주 저려서 깨고 그러거든요.

내가 혹시 손목터널증후군이 아닐까 걱정되어

이것저것 찾아보았지요.

 

손목터널증후군 

 

상지의 압박성 말초 신경병증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주된 증상은 손 저림이라고 해요.

 

환자들은 손바닥이나 손가락(주로 엄지와 인지, 중지 및 약지요측부)

타는 듯한 통증이나 손 저림, 감각 저하 등을 호소하지요.

코로나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집콕에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덩달아 늘어난 주부들의 질환 중 하나가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해요.

늘어난 가사 노동으로 주부들의 손은

쉴 틈이 없는 게 현실이에요.

저는 거기다 일까지 병행하다 보니 불쌍한 제 손....



그러다 보니 가끔씩 손이 저릿한 증상이 와도 

일시적인 것이겠거니 하고 그냥 넘기죠?

그냥 방치하다 보면 밤에 자다가도 손이 저려 깰 정도로

심한 통증으로 번지는 손목터널증후군.

 

진단과 치료,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약물 치료나 수술로 걱정 없이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 

손목터널증후군은 정중 신경이 

손목 관절의 전방에 위치하는 손목터널(수근관)을 통과하는 도중에 

눌려서 정중 신경 지배 영역에 

감각 변화나 저림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이에요.

 


초기 단계에는 감각신경에 의한 

손저림이나 무딘감 등이 나타나며, 

질환이 진행되면 무지구근의 약화를 초래하여 

악력이 떨어지기도 해요.

생수병 뚜껑도 잘 못 따서 7살 딸이 따 주는데...

심히 걱정이 되네요, 저도.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심하면 수면 도중, 잠에서 깰 정도로

손이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손목을 터는 것처럼 손과 손목을 움직이는 동작을 계속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험을 할 수 있어요.

◎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과 진단 

가장 간단한 자가진단은 

양쪽 손등을 마주 대고 1분 정도 유지했을 때 

손목에 통증을 느껴진다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어요.

해 봤는데 저는 아직 괜찮더라구요.^^

 


손목터널증후군은 원인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특발성 손목터널증후군'이라 하며 

환자 대부분이 여기에 속해요.

그 외에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를

'이차성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해요.

 

원인은 원위 요골 골절 이후에 발생한 경우,

수근관 내 굴곡건의 활액막증식으로 인한 경우,

수근관 내 종양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특이한 경우로 임신이나 수유 중에만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분만하거나 수유를 중단하면 호전될 수 있어요.

 

손목터널증후군은 환자의 증상으로

대부분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정중 신경 지배 영역에 손저림 증상이나 감각저하 이외에

간단한 이학적 유발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어요.

 

정확한 확진을 위해 근전도 및 신경검사를 시행하면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요.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당뇨나 목디스크로 인한 손 저림, 

무지 기저관절의 골성 관절염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정확한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 및 

경추 또는 수부의 방사선 검사가 중요해요.

◎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와 예방법 

질환 초기 단계에는 무리한 손목 사용 금지, 

야간에 손목 부목 고정, 약물 치료, 

수근관 내 스테로이드 주사 등이 효과가 있어요.

하지만 질환이 진행되어 무지구 근위축이 나타나거나

보존적 치료를 3~6개월간 시행한 후에도

증상 완화가 명확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해요.

일반적으로 수술 후 예후는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근관 내에서 정중 신경의 압박이 명확한 경우

수술 후 1~2일 이내에 증상이 소실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어요.


수술 후 일상 복귀는 아주 빠르며 

약 1주일 이내에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상생활을 시작할 수 있어요.


손목터널증후군 예방을 위해 

평소 무리하게 손이나 손목을 사용하는 

지속적인 동작이나 활동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완부 근력 강화 운동이나 손목 관절 스트레칭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우리의 손!

앞으로 더 소중히 해 주어야겠어요.

반응형